계룡산 오송대
◈ 계룡산 오송대(오성대) ◈
동학사-심우정사길-심우정사암릉-기도처(오송대)-삼불봉-남매탑북능선
- 심우정사암릉 상단 특별한 수도처 공개 -











▲ 심우정사 이정표..

▲ 심우정사 능선길..


▲ 나무위로 계룡산 동부능선 황적봉과 천왕봉..





▲ 좌우능선 안쪽 큰바위아래 명당자리에 위치한 심우정사..


▲ 조용히 심우정사 마당을 지나옵니다..

▲ 심우정사 바로왼쪽 칼바위 암벽모습, 지난번에 제가 바위왼쪽 직벽에 직등코스 개척..


▲ 직등길 하단지점..


▲ 직등길 중단지점..



▲ 직등길 상단에서..



▲ 심우정사좌능선 칼바위 암릉길..


▲ 바위아래 나무사이로 심우정사 파란지붕이..


▲ 칼바위길 왼쪽으로 두개의 큰 암벽이 있습니다..



▲ 양쪽이 절벽이어서 이바위를 넘어감니다..

▲ 바위위쪽 홀드가좋습니다, 손으로 잘잡고 중간바위턱을 게걸음으로 이동하여 통과..




▲ 오성대계곡과 심우정사골 합수점으로 내려가는 심우정사좌능선..

▲ 심우정사좌능선 왼쪽 심우정사골 오른쪽 오성대계곡..

▲ 칼바위 바위길이 끝나고, 심우정사암릉(좌능선) 이어서 진행합니다
심우정사암릉 진행코스는 칼바위는 위험해서 제외하고 오성대계곡
으로 진행하다 중단에서, 심우정사 서쪽 큰암벽 연결하여 바위왼쪽
날등으로 올라감니다, 심우정사에서 암벽쪽으로 연결해도 됩니다..



▲ 심우정사암릉 촛대바위..


















▲ 자연성릉에서 은선폭포 앞쪽으로내려간 호랭이능선 위로, 천황봉 쌀개봉 관음봉..

▲ 기도처앞 마당바위에서, 계룡산 동부능선 천왕봉 황적봉 치개봉..



- 진행한 트랙에 기도처 위치표시 -

▲ 심우정사암릉 상단 범상치않은 혈자리 명당에 위치한 수도처 공개..

- 이곳 기도터 인근이 오송대 아닐까요? -
심우정사암릉 산행을 하면 능선상단에있는 이곳 명당 수도처를
들립니다, 이 기도처에 오면 약 400년 전부터 계룡산
삼불봉아래 어딘가 있었다는 오송대, 옛날부터 관심많은 분들이
답사 많이 했는데도 아직도 오송대 위치를 확인하지
못하고 있는데, 제가 심우정사 암릉코스 가끔 산행 할때에 이곳
범상치않은 기도처를 보면, 오랜세월 찾지를 못하는
오송대가 이 기도처 인근이 아닐까? 항상 생각을 하게됩니다..


▲ 큰바위 암벽아래, 상 하단으로 되어있는 기도처 모습..


▲ 왼쪽 바위너머 절벽아래 오성대계곡 상단, 능선우측 절벽아래는 심우정사골 상단..






▲ 기도처에서 조망, 호랭이능선 상단위로 관음봉..


▲ 기도처 왼쪽 조망바위에서, 소나무 가지사이로 삼불봉..


▲ 기도처위 큰바위들 모습..


▲ 큰바위 아래쪽에 굴도 있습니다..

▲ 기도처위 멋진 조망바위..








▲ 조망바위에서 나무사이로 바라본 삼불봉과 우측에 동봉..



▲ 당겨본 천황봉과 쌀개봉..


▲ 기도처위 조망처 주변에 큰 소나무 몇그루 있습니다..

▲ 삼불봉 우측 동봉을 잠시후에 직등합니다..



▲ 조망처 아래골짜기 심우정사골 상단, 이어서 능선은
심우정사우능선 상단뒤로 학바위능선 동부능선..

▲ 심우정사우능선과 심우정사암릉(좌능선) 정상이 위쪽 봉우리에서 하나로 합쳐집니다..





▲ 이지점이 오성대계곡 최상단..

▲ 삼불봉 동봉 암벽 직등이 가능할것같아 도전합니다..

▲ 암벽에 직등흔적이 전혀없어 제가 처음 오르는것 같습니다..

▲ 보는거와달리 하단과 중단은 직벽이고 상단은 잡목..




▲ 동봉 직등길에서 내려다본 남매탑..


▲ 직등길 상단..


▲ 삼불봉보다 동봉의 조망 풍경이 더 좋습니다..


▲ 동봉 정상에서..


▲ 심우정사 좌우능선이 아래 봉우리로 올라와 하나로 합쳐진 모습..





▲ 동봉 정상에서 당겨본, 삼불봉 절벽아래 기도처모습..

▲ 삼불봉 절벽 모습..


▲ 당겨본 관음봉 문필봉 연천봉..

▲ 아래 오성대계곡 상단..




▲ 삼불봉쪽으로 내려감니다..




▲ 삼불봉 계단아래서 동봉으로 올라오는 편한길..


▲ 삼불봉 안올라가고 그냥 내려감니다..


▲ 고개 데크쉼터에서 동쪽능선(남매탑 북능선)으로 진행..





▲ 왼쪽봉 심우정사 좌우능선 정상, 우측으로 동봉과 삼불봉..

▲ 남매탑 북능선에서 당겨본, 동봉과 삼불봉 모습..



▲ 북능선에서 남매탑..

▲ 북능선에서 당겨본 남매탑..




▲ 취음 권중면(91855-1936)선생묘소, 일제 강점기때 관료였던 권중면 선생이
한일합방 비보를 듣고, 계룡산 상신리로 낙향하여 제자들을 키우며, 생전에
상신리 계곡에 9곡(용산9곡) 선정하여 바위에 글씨를 새겼다고 합니다..




▲ 앞쪽 학바위능선..

▲ 아래 남매탑계곡..










▲ 남매탑 북능선에서, 상신리계곡(용산9곡) 큰골..



▲ 짧은능선이 끝나고, 고개로 내려감니다..

▲ 고개에서 능선으로 진행하면 학바위능선입니다..


▲ 마지막사진, 큰배재에서 천정이골로 하산..
※ 누구든 오송대라고 주장을 하려면 확실히 증명할수있는 근거가
(바위에 오송대 암각 등등) 나오지 않는한 인정 받기가 어렵다고
봅니다 오송대 아무도 풀수없는 영원한 숙제로 남을것 같네요.ㅎ